노출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본문
이끼계곡을 찍으러"검룡소를 찾았었는데요,,,,
역시 노출,,,,문제가 되드라구요,,
오전 10시쯤 흐린 날씨에
조리개를 22,,16맞추니까 속도가 나오질 않아서 말이죠,,
그래서 B셔터로 22 조이고 찍었는데,,
확신이 서질않아 정확한걸 묻고 싶네요
22조이니까 속도가 나오질 않아 일단 조리개를 열어 보니까
5.6에서 속도가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8,,11,16,,22 조여보면서 한단계에 2의배수를 ,,,그러니까
2,,,4,,,,8,,16,,32초 이런식으로 맞추어서 촬영 했는데
슬라이드를 쓰다보니 정확하지 않으면 사진을 버릴것 같아서,,,
한번 여쭈어 봅니다..
이럼 맞는지,,아님 다른 노출계산식이 있는지,,,
이런건 첨이라,,,,자상하게 답해주시고,,,어루만져 주시믄 억수로 고맙겠는디!!!ㅎㅎㅎ'
EV수치가 가르치는데로 놓으니까 5.6이 나오더라는 말임,,,
횡설수설해서 죄송합니다,,날도 무지 더운데,,
댓글목록

청원님의 댓글

조리개를 22로 조였을 경우 타임값이 나오지 않을 경우는 조리개를 완전히 개방하여 측정한 다음 조리개를 한스톱씩 조여줄때마다 타임 곱하기 2를 해 주면됩니다.
즉!!!
2.8로 조였을 경우 타임이 15초가 나왔다 가졍할때...
4 = 30초
5.6 = 1분
8 = 2분
11 = 4분
16 = 8분
22 = 16분
이런식으로 계산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계산하여 노출을 주었을 경우의 변수를 생각해줘야 합니다.
1초 이상 넘어가는 장시간의 타임을 줄 경우에는 상반칙불괘의 현상에 의해 컬러 바란스가 깨지고, 노출부족현상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장시간 타임을 줄 경우에는 측정된 노출값 보다 반스톱~1스톱이상 더 노출을 주어야 합니다. 정확하게 몇스톱을 더 줘야 한다는 공식이 나올 수 없는 이유는....피사체와 전경 배경의 상황과 피사체가 현재 처해져 있는 조건, 사용하는 필름 등에 의해 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해서 위와 같이 계산된 내용으로 한 번 촬영을 하고...반 스톱, 혹은 한 스톱 정도의 노출을 더 주어가면서 브라케팅을 하여야 실패를 줄일수 있습니다.
또한...측정된 16분동안 피사체로 들어가는 입사광(광선의 양)이 일정해야 합니다만, 피사체로 들어가는 광선의 양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는 노출 측정하기는 힘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