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X 400을 EI 160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작업을 하다가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Tri-X 400의 경우 실제 최적의 EI는 160이란 정보를 얻고 저도 160으로 시도해 보았습니다.
코닥에서 제공하는 EI160 데이터는 없기에(당연 - -;) 400과 1600, 3200에 대한 데이터를
로그-로그로 그래프를 그려보니 선형그래프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그 선형 그래프을 이용하여 160을 예측해보니 4분30초(20도씨, T-MAX 1:4희석)을
얻어 그대로 적용해 보았습니다.
문제는 400으로 했을 경우와 비교해서 톤이 그다지 잘 재현되는 것 같지 않다는 것이며,
또 입자가 400으로 했을 경우와 큰 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씀드리면 400으로 현상했을 때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혹시 제 현상 데이터가 잘 못 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현상데이터는 만족스럽도록 맞추어 나갈 예정이지만,
어떤 방향으로 시도를 해가며 찾아가야할 지 방향을 알고 싶어
감히 질문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청원님의 댓글

Tri-X의 최적의 EI 라는 말은 좀 애매모호합니다.
개인마다 좋아하는 취향이 다르고, 사진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사진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령...
콘트라스트가 약한 부드러운 사진(그러나 사진이 힘은 없습니다.)을 좋아하거나 그런 사진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감도를 낮게 촬영하여 감감현상을 하는 것이고 이것이 최적이고....
콘트라스트가 강하고 거친 느낌의 사진을 좋아하거나 그런 사진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감도를 높게 촬영하여 증감현상을 하는 것이고 이것이 최적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최적이라는 단어는 그 어느 곳에 붙여도 맞을수도 있고 맞지 않을수도 있는 것입니다.
우짜튼...
Tri-X를 EI 160으로 촬영하여 4분 30초에 현상하였다면...정상적인 현상을 하신 것으로 생각되어 집니다.
톤이 잘 재현되지 않은 것 같이 보이는 이유는 콘트라스트가 낮아진 결과일 것으로 항상 정상적인 톤의 필름만 보다가 톤이 약한 필름을 보았기에 그리 느낀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하여간...필름의 결과물을 보지 않고는 정확하게 잘잘못을 파악할 수 없사오니...위의 글을 읽어 보시고 다시 궁굼증이 있으시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김호님의 댓글
김호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가령...
콘트라스트가 약한 부드러운 사진(그러나 사진이 힘은 없습니다.)을 좋아하거나 그런 사진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감도를 낮게 촬영하여 감감현상을 하는 것이고 이것이 최적이고....
콘트라스트가 강하고 거친 느낌의 사진을 좋아하거나 그런 사진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감도를 높게 촬영하여 증감현상을 하는 것이고 이것이 최적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최적이라는 단어는 그 어느 곳에 붙여도 맞을수도 있고 맞지 않을수도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이렇게 답을 빨리 달아주실 줄은 몰랐습니다. ^^)
제가 궁금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제대로 몰랐는데,
답변을 읽고 그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게 되었네요.
말씀을 듣고보니 사진이 예전의 현상 결과보다 부드러워진 것은 사실인것 같습니다.
(딱부러지게 말씀드리긴 어렵지만...그래서 사진이 어려운 걸까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