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노출이란?
페이지 정보
본문
물론 내게 유익한것들이 많이 있으니까요
무한한 감사를 드리며 염체없이 또 질문을 드리오니 언제나처럼 정확한 답변이 있으시를 바랍니다
어디에선가 기억은 않되지만
"하이라이트 부분의 노출을 측정할때 SPOT노출을 사용 합니다".라는 글을 읽어 보았습니다
SPOT노출이란? 어떵게 하는것입니까?
항상 건강 하십시요.
댓글목록

청원님의 댓글

스폿 노출로 하이라이트 부분의 노출을 측정하여 촬영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측정한 후 피사체의 반사율을 고려한 노출 보정을 해서 촬영을 해 줘야 합니다.
하이라이트 부분이 완전히 흰색에 가까울때의 반사율은 90%정도 입니다.
모든 카메라의 노출계는 반사광식으로...
어떤 피사체를 측정하던지 모두 18%의 반사율을 가졌다고 결론지어놓고 측정하기 때문에...
반사율이 90%인 흰색을 촬영하면 약 2스톱 반정도 노출 부족이 되며...
반대로 섀도우 부분(검은 피사체)을 촬영할때는 반사율이 약 4~5%정도인데 카메라는 18%라 생각하고 측정하니...카메라 측정치대로 촬영을 하면 노출 오버로 촬영이 됩니다.
결론은
스폿 측광을 사용할때는 하이라이트 부분의 노출을 측정한다기 보다는...
반사율이 18% 근접한 주피사체를 촬영하려 하는데 배경이나 전경이 주 피사체보다 많이 어둡거나 많이 밝을때 사용하거나, 주 피사체가 하이라이트 일 경우 하이라이트의 노출만을 측정하여 하이라이트의 반사율을 고려한 노출 보정을 하기 위한 측정입니다.
물론 하이라이트가 주제가 된다면 하이라이트의 노출을 스폿측광으로 측정한 후 한스텝 혹은 두스텝 오버 촬영하게 되고, 섀도우 부분은 반대로 노출 보정을 해 줘야 합니다.
한번 실험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흰색, 18%회색, 검정색을 카메라 노출치대로 촬영을 하고 현상해 보시면 세가지 톤이 모두 같이 나옵니다. 즉 모두 18%회색으로 촬영이 됩니다.
결국 스폿 측광을 자주 사용하기는 해야 합니다만, 스폿측광 역시 피사체의 반사율에 따른 노출보정을 해야 합니다.
위의 설명은 질문하신 내용과 같으나 노출보정을 염두에 두고 촬영하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스폿 측광은 수동카메라에서는 기능이 없고...
전자식 카메라(케논의 eos시리즈, 니콘의 f801 f4 등등)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