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3 hp에 sb26,sb28 과의 최상은요?
페이지 정보
본문
가끔 f3 에 sb26 과 28 을 사용합니다.물론 m 모드죠.가끔 들쑥날쑥해서 걱정이지만요.
가장 최상의 조합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가끔 뒸배경이 새까맣게 떨어질때가있기도하구요.
노출의문제인지 잘 조합이 안된건지요.잘몰라서 빼뜨린 질문이있어도 두루좀 알려주십시요.
감사합니다.사지ㄴ과함께 늘 행복하세요.
댓글목록

청원님의 댓글

SB-28은 생활방수를 위해 컨트롤 레버와 셀렉터가 개선되었으며, LCD illuminator가 니콘의 F5의 LCD 게기판의 라이트를 작동 시키면 스트로보의LCD 게시판이 동조 하며, 충전시간은 일반전지에 SB-26의 7초에서 SB-28에서는 6.5초로 단축 되었습니다. 플래시에서 가장 중요한 가이드 넘버는 SB-26과 비슷한 수준인 Gn 36(ISO 100, 35mm)입니다.
그러니 f3hp와는 어느 플래시를 사용하던 그 우월성을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합니다.
가끔 배경이 새까맣게 떨어지는 경우는 플래시의 광량에 비해 배경의 광량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우이거나,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보다 배경의 거리가 너무나 멀 때도 일어 나는 경우일 뿐 카메라와 플래시의 조합이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플래시 촬영할 때 배경이 나오도록 촬영하는 방법은 배경이 나올 정도의 타임을 더 주면됩니다만, 플래시의 광량을 받은 피사체가 인물일 경우 저속타임으로 인해 인물이 흔들리므로 인물의 가장자리가 뚜렸하지 못하고 흘러 버릴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노출이 들쑥 날쑥하는 경우는 조리개 설정을 정확하게 해 주지 않았을 경우가 많습니다.
f801이나 f4, f4에 이 플래시를 사용한다면 조리개 설정하는 것에 따라 플래시가 자동으로 광량을 조절해 주므로 노출이 들쑥 날쑥하는 경우가 드뭄니다만, f3와 같이 수동 카메라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GN=조리개 * 거리(ISO 100)의 공식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즉 위 공식을 대입하면 조리개=GN/거리입니다. SB-28의 가이드 넘버가 36이니까...만약 3미터의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감도 100짜리 필름으로 촬영할 때는 36/3=12....조리개를 12에 놓고 촬영하면 됩니다.
단, 플래시의 오랜 사용으로 인해 가이드 넘버 36이 유지되고 있는 지도 확인해 봐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