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필터와 cpl필터의 차이점.
페이지 정보
본문
댓글목록

청원님의 댓글

그냥...쉽게...pl은 수동초점용 필터이고 cpl은 자동초점용 필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pl필터를 현미경으로 보면 가는 선들이 가로로 그어져 있습니다. 창가의 브라인더와 같이...
그런데...
자동초점용 렌즈를 사용해서 즉 오토포커스로 촬영할때 이 가로 선에 의해 자동초점이 먹히질 않습니다.
이유는...
오토포커스의 초점 맞추는 원리가 초점이 맞지 않는 피사체는 두개로 보이고 이 두개로 보이는 것을 하나로 모아 주면서 초점이 맞춰지기 되어 있는데 pl필터의 가로선들을 이 오토포커스가 인식하여 피사체의 상이 두개로 분리되었다고 생각하면서 초점이 왔다 갔다를 반복합니다.
해서 이 것을 해결하기 위해 cpl이 나온것입니다.
cpl을 현미경으로 보면 가운데부터 바깥쪽으로 원형의 선들이 있습니다.
당연히 효과는 cpl보다 pl이 좋습니다.
오토포커스 렌즈일지라도 수동으로 초점을 맞춘다면 pl을 사용해도 상관 없으며, cpl은 수동 자동 다 사용해도 됩니다.


청원님의 댓글

pl과 cpl은 링을 돌리면 화면이 어두워 집니다.(사실 어두워지는 것이 아니라 파인더에 보이는 반사되는 부분의 반사가 없어지기 때문에 어두워지는것 같이 보입니다.)
가장 어두운 시점에서 촬영하면 됩니다.
단,
하늘을 촬영할때 pl필터를 사용하면 하늘이 파랑색이 나오지 않고 짙은청색이 나옵니다. 하늘색이 칙칙해진다고나 할까요.
하여간 편광(pl)필터를 사용하면 모든 사진이 다 잘나온다는 것은 아닙니다. 작가의 표현 의지에 따라 사용안하고 촬영해야 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제가 항상 하는 말입니다만,
사진은 정답이 없습니다.
이건 이렇다 저건 저렇다가 없습니다.
이럴수도 있고 저럴수도 있습니다.